등산,볼링과 이것저것

[스크랩] <암벽등반 용어>

지존돌쇠 2009. 8. 20. 15:55

  

                                                               <암벽등반 용어>

 

 

                                           -포타레지 [porta-ledge]      


 포타레지는 마땅한 비박지나 테라스가 없는 대 암벽에서 잠을 잘수있는 허공침대다. 과거에는 그물 침대인 해먹(hammock)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요즘은 보다 안락하게 취침할 수 있는 포타레지로 대체 되고 있다.  

 

 1960년대 그레그 로우가 처음 개발하여 러프텐트 (Lurp Tent)라는 이름으로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초기형태보다 발전 하였다. 요세미테뿐만 아니라 히말라야나 파타고니아의 거벽등에서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비나,눈을 피해 후라이도 설치 가능하며, 빌레이시트도 있다.

 

  우리가 암벽을 배우며, 이론적 소견을 나누어야 하고 또한 등반자와의 의사소통에서 공용하는 암벽 용어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통칭하는 용어를 정리해본다. 

 

 

1. 밴드(BAND) : 암벽면에 횡으로 길게 발달한 돌출부.

2. 버트레스(BUTTRESS) : 규모가 큰 직벽(원래의 의미는 버팀돌)

3. 침니(CHIMNEY) : 사람이 들어갈 수 있을 만한 넓이로 세로로 발달한 바위의 틈

4. 촉스톤(CHOCKSTONE) : 크랙이나 침니사이에 박혀서 빠지지 않는 돌

5. 크랙(CRACK) : 최소한 손가락 몇 개가 들어갈 만한 정도의 바위 균열

6. 디에드르(DIEDRE) : 바위가 바깥쪽을 향하여 열려 있듯이 양측 암벽사이가 90도 이상으로

                              파진 상태

7. 페이스(FACE) : 반트와 비슷한 의미이나 규모가 약간 작을 때 쓰입니다.

8. 필라(FILIAR) : 능선과 연결되지 않은 독립봉. 석주. 주봉등.

9. 장다름(GENDARME) : 주봉 앞에서 호위하듯이 우뚝 서  있는  전위봉 먼거리에서  볼 때는

                                 주봉으로 오인하기 쉽습니다.

10. 풋 홀드(FOOT HOLD) : 발디딤이 되는 바위의 요철
외면 : 토우스텝(토잉) / 프릭션스텝(스미어링) / 사이드스텝(엣징) / 프릭션토우스텝(스미어링)
내면 : 풋잼 / 풋 앤드 니이 잼(Foot and knee jam)

11. 디에드르(DIEDRE) : 크랙의 양쪽벽이 직각으로 만나는 곳

12. 걸리(GULLY)꿀루와르(COULOIR) : 급한경사로 세로로 흘러 내리는 바위도랑  눈사태 및

                                                    낙석의 통로가 됩니다.

13. 핸드 홀드(HAND HOLD) : 손잡이가 되는 바위의 요철
외면 : 그립홀드/핑거홀드/인서어트홀드/언더홀드/푸시홀드/네일홀드/포켓홀드

내면, 핸드잼 : 기본잼/손과 팔꿈치 잼/양손잼/주먹잼/양손 어퍼지션/핑거어퍼지션

14. 홀드(HOLD) : 암벽면에 노출된 요철로 손잡이, 발디딤 장소로 사용

 

15. 포켓 홀드(Pocket hold)  : 암면이 파여져 확실한 홀드가 되는 것

 

16. 폴리쉬드 홀드(Polished holds)  : 많이 사용하여 닳아 매끈해진 홀드

 

17. 플레이스먼트(Placement)  : 확보물을 지칭하는 말


18. 칸테(KANTE) : 모서리

19. 나이프 엣지(KNIFE EDGE) : 바위가 날카롭게 모서리진 것

20. 오우버행(OVERHANG) : 경사가 수직이 넘게 윗 쪽이 앞으로 더 튀어나온 암벽

21. 릿지(RIDGE) : 산능선. 소규모의 급한 바위능선

22. 리쓰(RISS) : 원래의 의미는 크랙과 같으나 하켄을 겨우 박을 정도의 바위 균열 정도를

                       리쓰라고 구분

23. 루프(ROOF) : 오버행의 아랫부분이 천정모양을 이루고 있을 때 그 수평부분

24. 새들(SADDLE) 꼴(COL) : 두개의 봉우리 사이 패인곳 (노적봉)

25. 슬랩(SLAB) : 30도에서 60도 정도의 판형으로 된 균열없이 매끈한 암사면 (애플슬랩=사과입술=수락산)

26. 스탠스(STANCE) : 바위에서 확보를 하거나 쉴 수 있을 만한 발디딤 장소

27. 서미트(SUMMIT) : 산 또는 산봉의 정상 

28.테라스(TERRACE) : 등반자가 자기확보를 충분히 할 수 있을 만큼의 넓은 장소

29. 톱로핑(TOP ROPPING) : 미리 줄을 설치해 놓은 상태에서 등반하는 것 암벽 명칭 용어

30. 반트(WAND) : 규모가 큰 50도에서 90도 정도의 각을 이룬 노출된 암벽

 

31. 피나클(Pinnacle) : 암릉이나 암벽 위에 있는 작은 바위탑. 소첨탑이라고도 부른다.
--------------------------------------------------------------------------


등반행위 및 기술용어

1. 압자일렌(ABSEILEN) : 로프를 이용한 하강방법

2. 안자일렌(ANSEILEN) : 로프를 사용하여 등반대원 전원을 연결하고 연속 등반하는 방식.

                                     비교적 쉬운 루트에서 사용합니다.

3. 아티피셜 클라이밍(ARTIFICIAL CLIMBING) : 또는 AID CLIMBING이라고도 하는데 우리말로는

                인공등반. 즉 인공의 수단을 사용하여 그것을 전진의 수단으로 삼는 방법. 줄사다리

                사용 등이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하켄을 박고 그것을 당겨서 위로 오르면 그것도

                인공등반입니다.

 

4. 피치(Pitch) : 루트의 한 부분으로 클라이밍의 단위 역할을 한다.

5. 빌레이(BELAY) : 동료 등반자의 안전을 위해 로프를 다루는 방법들

6. 토포(Topo) : 루트의 선을 그린 도면

 

7. 펙(Peg) : 흔히 피톤 대신에 사용하는 말

 

8. 피톤(Piton)  : 날이 있는 크랙에 박는 금속제 확보물로 머리 쪽에 카라비너를 거는 구멍이 있다.

 

9. 볼더 링 (BOULDERING) : 2∼5미터 정도의 낮은 암벽을 맨손으로 로프를 사용하지 않고 오르는

                                    행위.

 

10. 크럭스(CRUX) : 어떤 등반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

 

11. 트루 루트(Through route) : 침니에서 터널과 같은 곳을 빠져나가는 것

 

12. 트레드(Thread) : 자연적인 바위 구멍이나 촉 스톤에 슬링을 걸어서 만든 확보물


13. 다이나믹 빌레이(DYNAMIC BELAY) : 제동확보. 충격흡수를 위해 로프를 약간 흘렸다가 잡

                                             는 방법으로 숙달되지 않고는 사용하기 곤란한 어려운 방법

14. 플래싱(FLASHING) : 루트에 대한 개념도를 보거나 사전 시도후 완벽한 자세로 단번에 완등

                               함을 말합니다. 

15. 프리 클라이밍(FREE CLIMBING) : 인공적인 수단의 사용 없이 순수한 사람의  힘만으로 

                           암벽의 자연적인 조건만을 이용하여 오르는 방법.

                           확보를 위하여 하켄을 박는 것은 프리  클라이밍이 아니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단지 전진의 수단으로 삼지 않으면 되는 것입니다.

 

16. 틴 클라이밍(Thin Climbing) : 작고 적은 홀드를 사용하는 어려운 등반


17. 프리 솔로(FREE SOLO) : 로프의 사용없이 단독으로 하는 자유등반. 위험도가 매우 높습니다.

18. 행도깅(HANGDOGING) : 추락한 경우 매달린 자리에서 그냥 등반을 계속하는 것

19. 하드프리 클라이밍(HARD FREE CLIMBING) :  극히 어려운 자유등반, 즉  기존의  인공등반

   루트를 자유등반 한다든지 이제까지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해온 루트를 자유  등반하는  것

   으로 온 사이트, 마스터타일, 텐션스타일, 톱로핑, 요요 스타일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20. 프릭션 클라이밍(FRICT10N CLIMBING) : 암벽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암벽을 오르는 방법.

                                                        슬랩등에서 많이 쓰입니다.

 

21. 테크니컬 클라이밍(Technical climbing) : 한 루트 중 여러 어려운 동작을 필요로 하는 부분


22. 힐훅(HEEL HOOK) : 잠시 발꿈치를 머리위의 지점에 걸어 몸을 지탱하는 동작

23. 재밍(JAMMING) : 크랙사이에 손 또는 발을 집어 넣어 빠지지 않게 비틀어 가며 오르는 방법

24. 마스터 스타일(MASTER STYLE) : 톱로핑으로 루트를 충분히 익힌 후에 단번에 추락없이 완

                                                등함을 합니다.

25. 무브(MOVE) : 홀드에서 다음 홀드로 이동하는 동작

 

26. 트래버스(Traverse) :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옆으로 가는 것을 말한다

27. 온사이트(ONSIGHT) : 첫눈오름. 암벽등반루트의 사전 관찰없이 첫번시도에 완등하는  스타

                               일로서 하드프리에서 최고의 수준으로 칩니다.

28. 팬듀럼 트레버스(PENDULUM TRAVERSE) : 진자식 횡단법

29. 레이백(RAY BACK) : 듈퍼식 등반법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크랙의 한쪽을  발로 버티고  다른

                              쪽은 손으로 당겨서 오르는 방법

30. 레드포인트(RED POINT) : 한번의 추락도 없이 자유등반으로 리드한 경우

31. 루트 파인딩(ROUTE FINDING) : 암벽등반에 앞서 미리 등반할 루트를 관찰하는 것

32. 런닝 빌레이(RUNNING BELAY) : 톱이 등반하면서 중간 확보물을 계속 설치하여 로프를 통

                                                과  시키면서 등반하는 방법

 

33. 프루지킹(Prusiking)  : 프루직 매듭으로 건 고리를 사용하여 고정 로프를 오르는 방법

 

34. 티롤리안 트래버스(Tyrolean traverse) : 협곡 양쪽에서 확보하는 로프를 타고 협곡을 건너는 방법으로

                                     멋져 보이나 보통 불필요하다.

 

35.. 텐션 스타일(TENS10N STYLE) : 등반도중 추락 또는 휴식필요시 확보자의 확보에 의지하여

                                                원추에 등반을 계속하여 완등하는 스타일

 

36. 텐션 트래버스(Tension traverse) : 부분적인 지원을 받기 위해 근처의 확보물을 통해 팽팽이 한 로프를 사용하여

                                                  트래버스하는 방법

 

37. 토우트래버스(Toe traverse)  : 풋 홀드만 있고 핸드 홀드가 없는 트래버스 루트


38. 톱로핑(TOP ROPPING) : 로프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 미리 확보해 놓은 상태에서 등반하는 것.

                                   어려운 루트의 연습방법으로 많이 쓰입니다.

 

39. 톱 로프(Top rope)  : 등반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루트 정상에 올라가 로프 끝을 아래로 내려보내 확보하는 것을

                                 톱 로핑이라고 하여 그렇게 내려 보낸 로프를 톱 로프라고 한다.

 

40. 필오프(Peel off) : 떨어지다.


41. 요요 스타일(YOYO STYLE) : 등반 중 추락하거나 피로해지면 하강하여 휴식을 취한 후에 추

                                         락지점까지 유마링한 후에 다시 등반하고 또 추락하면 같은 방

                                         법을 반복하여 끝내 완등하는 스타일

42. 요요잉(YOYOING) : 추락한 경우 출발점으로 내려왔다 다시 올라가는 것

 

43. 프로텍션(Protection) : 방어, 확보물이 제공하는 안전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출 처 : 암벽등반용어 다솔산악회 카페 terrace1915 님

           http://cafe.naver.com/isansarang/3151 

           http://blog.daum.net/2qnsdo/16148213

 

-다음은 프로텍션[PROTECTION]의 종류와 기능, 기계적 한계력과  특성에 관하여 연구해 본다..       

 

출처 : <암벽등반 용어>
글쓴이 : 호넷훌랄라 원글보기
메모 :